티스토리 뷰
목차
기차 예매, 그냥 취소하면 이제 돈 더 내야 합니다! 🚨
주말 열차 티켓 환불 위약금, 무임승차 벌금까지 대폭 상향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제는 좌석 낭비 없이, 실수요자 중심의 철도 정책이 시작됩니다.
KTX취소표확인
왜 철도 정책이 개편되었나?
국토교통부와 코레일, SR은 철도 좌석 낭비를 막고 실수요자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여객운송약관을 전면 개정했습니다.
기존에는 출발 직전 대량 취소가 가능해 좌석을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무임승차나 요금 회피 등 부정 이용도 잦았죠.
주말 열차 환불, 이제 위약금 ‘확’ 오릅니다
📌 적용일: **2025년 5월 28일부터
- 주말 및 공휴일(금요일 포함) 예매 후 취소 시 위약금 차등 부과
- 3시간 전까지 취소: 10% 위약금
- 3시간 이내 취소: 20%
- 열차 출발 후 20분 이내 환불: 30%
- 이틀 전 취소: 400원 정액
- 1일 전 취소: 예매금액의 5%
KTX 취소표 실시간 확인법
KTX 취소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예매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취소좌석을 원하시면 코레일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코레일 예매 바로가기👆 KTX를 이용하려 했지만 좌석이 매진?KTX를
btip2.gomziview.com
무임승차 벌금, 2배로 ‘확’ 올라요
📌 적용일: 2025년 5월 28일부터
- 기존: 정상 요금 + 50%
- 변경: 정상 요금 + 100% 부과
예: 서울~부산 KTX 무임승차 시 → 기존: 약 89,700원 → 변경 후: 약 119,600원
요금 회피 꼼수도 막는다
단거리 티켓 구매 후 장거리 탑승하는 ‘불법 연장’ 관행 방지를 위해 열차 내 거리 연장 시에도 부가운임 부과 기준을 명확히 개정했습니다. 철도 질서와 형평성 있는 이용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철도 이용자 매너 기준도 생긴다
이제는 열차 내에서 소음, 악취, 불쾌한 행동 등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승객에 대해 열차 이용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여객운송약관에 명시됐습니다.
한눈에 보는 변경 내용 요약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
주말 티켓 취소 위약금 | 약 10~15% | 최대 30%까지 |
무임승차 벌금 | 기본 운임 + 50% | 기본 운임 + 100% |
불법 거리 연장 | 모호한 기준 | 부가운임 명확히 부과 |
열차 내 질서 방해 | 명확한 제한 없음 | 이용 제한 가능 |
Q&A
Q1. 평일 티켓도 위약금 바뀌나요?
A. 아닙니다. 이번 개편은 **주말, 공휴일, 금요일 출발 열차**에만 해당됩니다.
Q2. 무임승차 벌금은 누구에게 적용되나요?
A. 표 없이 탑승하거나, 거리를 속여서 탑승하는 모든 승객에게 적용됩니다.
Q3. 무임승차 벌금은 현장에서 바로 내야 하나요?
A. 현장 납부 또는 사후 청구 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코레일/SR 규정에 따릅니다.
Q4. 2일 전 취소하면 위약금 없나요?
A. 2일 전 취소 시에는 정액 400원의 위약금만 발생합니다.
Q5. 철도 질서 방해 기준은 누가 판단하나요?
A. 승무원 또는 열차 안전요원이 현장에서 판단하며, 반복 시 열차 이용 제한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및 행동 유도
이제 기차표 예매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예약 남발, 무임승차, 꼼수 탑승은 철저히 단속됩니다. 실제 이용자 중심으로 바뀌는 철도 시스템, 오늘부터 제대로 알아두세요!
좌석은 모두의 권리입니다. 불이익 받기 전에 미리 확인하세요